121th Hack Night @데이터저널리즘연구소 + CODE ACROSS 2017


Details
121번째 핵나잇은 CODE ACROSS 2017 의 본 모임과 같이 진행됩니다.
CODE ACROSS 2017의 두 번째 본 모임 '대놓고 무해하며 대중적인 음모' 가 지난 3월 15일에 뉴스타파 데이터저널리즘 연구소 1층 회의실에서 진행되었습니다.
지난 모임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논의되었습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[참여자들 의견]
- 결산서의 출산지원 예산 확인
- 강남구 육아지원센터 서울시 보육사업 문서 확인 (어린이집, 보육교사, 급식..), 2012~2017년
- 결산서의 출산양육지원 사업 예산 확인, 2015년 개정 내용 확인
- 출산정책으로 간다면 최근 2010~2016년 기본계획, 시행계획, 시도/시군구 계획서 제출 일체 요청, 보육정책으로 간다면 최근 2010~2016년 종합계획, 시행계획, 시도/시군구 계획서 제출 일체 요청해서 정리해보면 쉽게 접근 할 수 있을거 같아요
- 법령, 직장어린이집 설치 내용 확인, 여성 상시근로자 00명 이상인 사업자 중 설치의무 미이행 사업자(학교, 기업) 명단
- 예산서에서 출산 및 보육 관련 세부 사업명 정리, 부서명 및 사업명 변경이 있었고.. (실국본부장, 부서장, 담당자 변경과 매치)
[의견 및 현황 정리]
• 법령의 변화 -> 시사점 (법령 사이트, 정보 있음-공개)
• 예산의 변화 -> 시각화 (예산 사이트, 데이터 있음-공개)
• 출산정책의 변화 -> 시각화, 시사점 (문서공개 사이트, 정보 있음-비공개, 세부 대상을 정해야 함)
• 보육정책의 변화 -> 시각화, 시사점 (문서공개 사이트, 정보 있음-비공개, 세부 대상을 정해야 함)
[TODO]
• 출산과 관련 된 시행년도, 대상, 결산 정리
• 결과물은 무엇으로?
• 지속적인 결과가 자동으로 나오게 할 수 있을까?
[알고 싶은 점]
• 시민의 피드백을 잘 반영하고 있을까?
• 공급자(공공) 관점에서 정책이 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?
실익이 있는 정책이 있긴 할까?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이에 따라, 각자 좀 더 리서치를 해본 뒤 결과를 각자의 적합한 양식으로 정리해보고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다시 논의를 해보기로 했습니다. :)
(3월 안으로는 마치겠죠 ㅋ)
CODE ACROSS 2017은 Code for Seoul 활동가끼리 신나서 진행하고 있습니다.
관심있는 분들은 누구나 언제든지 참여 하실 수 있습니다. :)
그럼 수요일에 봬요!

121th Hack Night @데이터저널리즘연구소 + CODE ACROSS 2017